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팔관회와 나례 알아보기

쭌쭌형제 2017. 6. 7. 22:52

팔관회란 무엇인가?


신라의 팔관회는 고려에 그대로 소술되어 국가 사천의 최고 전례로서 고려말의 <나례>와 함께 역대에 변함이 없었으므로, 이러한 보장 밑에 <가무백희>가 성행하였다. 고려 역대의 왕과 권신들 중에는 호희하는 자가 많았고, 더우기 충렬왕이후 중국에서 잡극의 황금시대를 현출한 원나라의 부마국이 된 이후로는 <연희>에의 탐닉도 더욱 심하여져서 창우의 사회적 지위도 잔연히 높아진 것을 문헌에서 볼 수 있다. 그 위에 외국희의 전래도 있어 양적으로는 향상하였을 것이나, 그 질적 변화에는 보잘것 없고 여전히 가무백희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. 따라서 극예술은 종시 독립 분화하지 못한채 <골제조회>의 촌극정도에서 배회하고 말았다. 산대도감극의 선행 예능인 고려의 이른 바 <산대잡극>의 내용을 보여주는 것으로는 고려 말 목은의 시<구나행>이 있는데 이를 요약해 보면주로 탈춤이 산대극이나 귀신을 쫓는 구나행우와 연관한것을 보고 신라 일의 산악백희의 범위를 넘지 못하는 것 같다. 이러한 <산대잡극>이 고려 말에서 이씨조선에 계승되어 , 이조에서는 나례도감을 설치하고 세시의 나례와 조정의 의식, 외국 사신의 접대에 싸우는 백희를 주선하게 되었는데 여기세 산대극도 외국 사신의 접대용으로서 공람하게 되어 도감에 예속되었다고 한다.


나례란 무엇인가?


나례는 원래 종교적 행사인 <구나부> 및 구나가 끝난 다음 거행되는 가무오신의 연희가 여흥적 존재로 발전한 <잡회부>의 2가지로 나뉘어진다. 그러나 뒤에는 <구나> 축역의식만을 <나례>라 한 것이 아니라, 이 의식이 있은후에 거행되는 처용무, 백희, 잡희, 회학지사를 일삼는 <잡희부>까지 포함하여 <나례>라 부르고 심지어는 축역 의식이 없이 백희 <잡희>만을 거행하는 경우까지 모두 <나례>라 부르게 되었다. 이조에 와서는 종교적 의식으로부터 일반적 오락성을 띄게 되고, 드디어는 순수한 고착의 연극으로 발전하여 갔다. 또, 이조때에는 종래의 <가무백희>를 <규식지희>와 <소학지희>의 2가지로 대분하였다. 규식지희는 <기기곡예>에 해당되며 <소학지희>는 <골계조희>로서 연극을 나타내는 <짓><굿><노릇>에 해당된다. 규식지희는 쇳대노릇의 용례에서와 같이 <노릇>이라 볼 수 있음에 대하여 소학지희는 <몸짓흉내>에서 <몸짓말>로 연장되고 <노릇사설> 혹은 <노릇말>이라 볼 수 있으며 또한 <짓>의 연장인 <짓거리>라는 말이 더 적절할 것이다. 다시 이 <짓거리>에서 연장하여 고차의 희극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나 그 일보 직전에서 그만 정체되고 말았다.

댓글